Posted in

우리집 소득 수준 , 순위 , 소득 기준 알아보기

우리집 소득 수준, 순위, 소득 기준에 대해 알아봅니다. “우리 집 소득 수준이 어느 정도일까?” 이런 궁금증을 가진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소득 수준은 가구의 경제적 위치를 파악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며, 정부의 복지 정책과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판단하는 데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우리집 소득 수준 , 순위 , 소득 기준 알아보기

오늘은 소득 수준을 평가하는 기준과 함께 기준 중위소득 개념, 그리고 소득 순위를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최신 기준 중위소득 알아보기

https://easylaw.go.kr/CSP/CnpClsMain.laf?popMenu=ov&csmSeq=1533&ccfNo=2&cciNo=2&cnpClsNo=2

1. 우리집 소득 수준을 평가하는 기준

소득 수준을 평가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가구 소득을 기준으로 비교하게 됩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가구 소득은 가구원 전체가 벌어들이는 월평균 소득을 의미합니다.

소득 수준을 평가할 때 자주 사용되는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소득(월평균 소득)

  • 가구 전체가 한 달 동안 벌어들이는 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 포함)

소득 분위(백분위 기준 소득 순위)

  • 전체 가구를 소득에 따라 10개 그룹(10분위) 또는 100개 그룹(백분위)으로 나눈 기준
  • 예를 들어, 상위 20%에 속하면 5분위 이상, 하위 20%이면 2분위 이하로 분류

기준 중위소득

  • 전체 가구의 소득을 낮은 순서부터 높은 순서까지 정렬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하는 가구의 소득
  • 보건복지부가 매년 발표하며, 각종 복지 지원 기준이 됨

이제 기준 중위소득 개념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은 정부가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지표로, 복지 지원 대상 선정 기준이 됩니다.

기준 중위소득 공식 정의
“모든 가구의 소득을 낮은 순서부터 높은 순서까지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

즉, 전체 가구의 중앙값을 의미하며, 평균소득과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을 활용하는 이유

  • 평균소득보다 현실적인 기준
    • 평균소득은 초고소득자의 영향으로 왜곡될 수 있음
  • 정부 복지 정책의 기준
    • 기초생활보장제도, 건강보험료 경감, 교육비 지원, 주거급여 등의 기준으로 활용
  • 가구원 수에 따른 차이 반영
    • 1인 가구와 4인 가구의 생활비 차이를 고려하여 가구별 기준을 다르게 설정

📌 2024년 기준 중위소득 (보건복지부 발표)

가구원 수기준 중위소득 (월)
1인 가구2,077,892원
2인 가구3,456,155원
3인 가구4,435,944원
4인 가구5,376,176원
5인 가구6,263,646원
6인 가구7,127,980원

예를 들어, 4인 가족이 한 달에 537만 원의 소득을 벌고 있다면 정확히 기준 중위소득(100%) 수준이 됩니다.

소득 구간별 기준 (예시)

  •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 생계급여, 의료급여 대상
  • 기준 중위소득 75% 이하 → 주거급여 대상
  •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 각종 정부 지원 프로그램 대상

3. 우리집 소득 순위 확인하는 방법

우리 집 소득이 전체 가구 중 어느 정도 위치에 있는지 궁금하다면 **소득 분위(백분위)**를 기준으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소득 분위(10분위 기준)란?

  • 전체 가구를 소득에 따라 10개의 그룹으로 나눈 것
  • 1분위는 가장 소득이 낮은 10%, 10분위는 가장 높은 10%

소득 백분위란?

  • 소득 순위를 1% 단위로 세분화하여 전체 가구 중 몇 퍼센트에 해당하는지 나타내는 기준

📌 2024년 가구소득 분위 기준 (예시)

분위소득 구간 (월평균)
1분위 (하위 10%)약 200만 원 이하
2분위 (10~20%)약 200~300만 원
3분위 (20~30%)약 300~400만 원
4분위 (30~40%)약 400~500만 원
5분위 (40~50%)약 500~600만 원
6분위 (50~60%)약 600~700만 원
7분위 (60~70%)약 700~800만 원
8분위 (70~80%)약 800~1,000만 원
9분위 (80~90%)약 1,000~1,500만 원
10분위 (상위 10%)1,500만 원 이상

예를 들어, 월소득 500만 원이면 전체 가구의 약 50% 수준(5분위), 월소득 1,000만 원이면 상위 20%(8~9분위)에 해당합니다.

우리 가구 소득 순위를 알아보는 방법

  • 통계청, 보건복지부 자료 활용
  • 온라인 소득 순위 계산기 활용
  • 소득 대비 가구 규모 비교

4. 소득 순위와 복지 지원 가능성

우리 집 소득 수준을 파악하면, 어떤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득 분위별 주요 복지 혜택

  • 1~2분위 (하위 20%) → 기초생활보장, 주거급여, 교육급여 지원
  • 3~4분위 (하위 40%) → 건강보험료 경감, 장학금 지원
  • 5~7분위 (중위 50~70%) → 아동수당, 육아 지원 혜택
  • 8~10분위 (상위 20%) → 복지 혜택이 적지만 세금 부담이 높음

이상입니다.

[다른글]

https://teamup.kr/information/2025-소득연계형-국가장학금